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영혼의 애타는 갈망]
앞서 말한 바와 같이 각고, 즉 감각의 벌은 혹독하기는 하지만 실고, 즉 하느님을 뵙지 못하는 고벌에는 도저히 비길 바가 못 된다. 교황 인노첸시오 3세의 설에 의하면, 사심판에서 예수그리스도를 뵙는 일은 선인의 위안이기는 하나, 보속을 못다 한 까닭에 아직 얼마 동안 더 떨어져 있어야만 할 때의 영혼의 열망의 고통은 이루 다 형언할 수 없다. 영혼은 하느님 외에는 원하는 것도 없고 사랑하는 것도 없다. 하느님 자체가 그들의 고통이 된다. 영혼은 채워지지 않는 자기네 사랑으로 말미암아 괴롭힘을 당한다. 하느님을 염원하고 있기에 그외의 것으로는 그 목마름을 가시게 할 수 없다.
시에나의 성녀 카타리나는 말했다.
"하느님을 뵈올 수 없을 때에는 마음속에 타오르는 불이 일어나 영혼은 형용할 수 없는 슬픔을 느끼는 것이다."
"어머니로부터 억지로 떼어 낸 어린애는 한사코 어머니를 부른다.", "자석은 쇠붙이를 당긴다." 따위의 비유는 연옥 영혼의 하느님께 대한 사랑을 나타내기에는 극히 부적당하다. 사랑이 완전하면 할수록 이를 채울 수 없는 고통은 심하다. 연옥에 있는 영혼은 한마음으로 하느님을 부르고 그분을 향해 두 손을 들지만 보속이 다 되기까지 하느님은 멀리 계시어 눈에 띄지 않는 것이다.
[성 요한 크리소스토모의 말]
"예수그리스도를 뵙기 위해서는 천만 번 죽어야 한다."든가 또는 "얼마 동안 지옥에서 고통받아야 한다고 해도 나는 것이 아무 것도 아니라고 여긴다."라고 성 요한 크리소스토모는 말하였다. 이 감동적 부르짖음으로 성인의 하느님께 대한 사랑의 정도를 짐작할 수 있다. 그러나 만일 성인이 사심판 때에 육체를 벗어난 영혼이 하는 것처럼 예수 그리스도를 있는 그대로 보았더라면 그 때야말로 성인의 마음은 사랑에 녹아 버려 그 비상한 갈망은 도저히 상상할 수 조차 없을 것이다.
[하느님의 아름다움]
인간은 아름다움에 마음을 저절로 빼앗긴다. 현세의 불완전하고 하찮은 아름다움도 사람의 마음을 끌어당겨, 그로 인해 입맛을 잃고 잠을 못 이루곤 하는 따위의 예는 적지 않다. 인간은 만물의 영장이라고 하지만 한편으로 볼 때에 오물 단지에 불과하다. 그의 아름다움만 해도 위와 같은 힘이 있다면 '미의 원천'이신 하느님의 아름다움은 어떠할까? 그것은 도저히 이승에서는 상상도 못한다.
영혼은 자진하여 연옥에 간다. 흔히 사람들이 생각하듯 보속을 하는 영혼이 하느님에 의해 연옥에 보내지는 것은 아니다. 하느님의 흠 없으심과 제 자신의 더러움을 보고서는 온전히 깨끗해지기까지 슬퍼하면서도 제 발로 달갑게 연옥에 가는 것이다. 더러운 그대로 천국에 있기보다 연옥에서 고통받는 것을 기쁘게 생각한다. 예복을 입은 사람들이 있는 훌륭한 방에 더러운 작업복이나 입던 옷을 그대로 입고 나가는 것보다 부끄러워서 들어가지 않는 편이 낫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연옥 영혼을 위로하기 위해 희생자가 된 카롤리나 클레망은 1880년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28년 전 나는 내 일생에 비상한 영향을 준 한 환상을 보았다. 나는 죽어서 사심판을 받았다. 구세주께서는 몹시 위엄 있는 모습으로 내게 나타나셨다. 그러면서도 크나큰 선하심과 양선하심을 지니고 계셨다. 그래서 나를 맞아 주는 그 두 팔에 뛰어 들어가려고 했었다. 하지만 거기에는 은밀한 데까지 속속들이 꿰뚫어 보는 눈초리가 있었다. 그래서 사함을 받기는 했으나 그 보속을 못다 한 죄의 큰 더러움이 내 눈앞에 나타났고 내 마음은 이루 말할 수 없는 부끄러움과 고통을 받았다. 한순간 일망정 그 앞에 있기보다 만일 지옥이라도 그 옆에 있었다면 주저 없이 거기 뛰어들려고 했을 정도이다. 그래서 보속을 다 못하고 하느님 대전에 있기보다는 연옥에서 고통받는 편이 쉽다는 것을 깨달았다."
[추방자]
연옥 영혼은 고아이다. 하느님과 성모마리아를 볼 수 없다. 그들은 천국에서 추방된 자이다. 거기서 그를 기다리고 있는 부모, 형제, 벗을 만나기를 몹시 원하고 있다. 성녀 데레사는 말한다.
"하느님을 뵈올 수 없는 괴로움은 상상 이상이다. 연옥 영혼은 하느님 곁에 살고 싶지만 그 의로우심으로 말미암아 떨어져 있어야 한다. 그 갈망에 괴롭힘을 받는 것이다."
다음 이야기는 어느 정도 이 일을 깨닫게 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흉내 낼 수 없는 미소]
지금으로 부터 백여 년 전, 성모 마리아께서 루르드에서 성녀 베르나데트에게 나타났을 때에 두 사람의 무신앙자가 "그 망신을 깨뜨려 주려고" 루르드에 갔다. 그 동굴 앞에 이르러 베르나데트의 얼굴을 보니까 뭐라고 형용할 수 없는 모습으로 빛나고 있었다. 그래서 두 사람의 무신앙자는 모자를 벗고 무릎을 꿇어 기도하였다.
루르드의 성모에 대해서 프랑스의 부르사이 백작은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내가 코트레 온천장에 있었을 무렵, 항간에서는 루르드의 성모 발현 이야기로 떠들썩하였다. 그 당시 나는 방탕자이며 또 무신론자였기 때문에 그 발현을 믿지 않았음은 물론이요 신의 존재조차 인정하지 않았다. 지방 신문에서 베르나테트가 보았을 때에 성모께서 미소를 지었다는 대목을 읽고 나는 호기심으로 구경꾼이 되어 그 자리에서 가면을 벗겨 주리라고 생각하며 직접 베르나데트의 집을 찾아갔다. 베르나데트는 입구의 계단에서 검은 양말을 손질하고 있었다. 내 눈에는 그녀가 한갓 천한 소녀로 보였다. 그러나 그 용모는 여위기는 했을망정 어딘지 모르게 사랑스러웠다. 그녀는 내 질문에 간단하고 꾸밈 없이 발현 이야기를 해주어서 나는 대단히 감동하였다. 끝으로 나는 물었다.
'그럼 그 귀부인은 어떤 모양으로 미소 지으셨소?'
이 시골 소녀는 어이없다는 표정으로 잠시 아무 말이 없더니 좀 있다가 대답했다.
'아이 참, 그런 미소를 천국에 사시는 분이 아니고는 누가 흉내 낼 수 있겠어요?'
'어떻게 좀 내게 그 미소를 보여 줄 수 없겠소? 나는 의심 많은 무신론자라서 그 발현을 안 믿으니까요.'
하고 내가 물으니 그녀는 갑자기 어두운 표정을 하고 엄연히 힐문하였다.
'그럼 당신은 나를 거짓말쟁이로 여기시나요?'
나의 이 때까지의 생기는 어디론가 달아나 버렸다. 어찌 이 소녀가 거짓말쟁이일 수가 있으랴. 나는 그 자리에 무릎을 꿇고 사과하고픈 심정이 됐다. 그러나 베르나데트는,
'당신은 죄인이니 성모님의 미소를 흉내 내어 봐 드리지요.'
하고 말했다. 그리고 조용히 일어서서 두 손을 모으고 천국에 계시는 분의 미소를 상상하기 시작했다. 소녀가 눈을 하늘로 우러러보고 미소하고 있을 동안에 나는 조용히 무릎을 꿇었다. 나는 성모의 미소도 이와 같으리라는 것을 깨달았다. 그로부터 나는 이 깨끗한 미소를 마음에 새겼으며 이를 상상할 때마다 이루 말할 수 없는 위안을 받았다. 그 후로 나는 아내와 두 딸을 잃었지만 이제는 내가 이 세상에 홀로 이롭게 살고 있다고는 생각할 수 없다. 나는 성모의 미소와 함께 살고 있다."
[당신은 성모마리아를 보셨나요]
베르나데트는 그 후 수녀가 되어 마리 베르나르도라 불리고 수도원 병실에서 천식증 치료를 받고 있었다. 어느 날 다른 자매의 네 살 난 조카딸이 문병 왔다. 어린애는 성당에 들어간 것처럼 얌전하여 발끝으로 가만가만 침대 가까이 가서 조심조심 베르나데트에게 말했다.
"수녀님, 수녀님은 성모마리아를 보셨나요?"
"그래, 성모님을 뵈었어요."
"성모님은 퍽 예쁘죠?"
이 말을 들은 베르나데트의 얼굴은 즉시 달라졌다. 말할 수 없는 표정이 되어 말했다.
"아아, 또 뵙고 싶어서 죽고 싶을 정도야..."
어린애는 이 두터운 신앙과 사랑에 몹시 감동하여 말했다.
"수녀님, 엄마와 나를 위해 기도해 주세요."
"기도하겠어요. 아기도 나를 위해 기도해 주어요."
어린애는 너무나 좋아서 성모마리아를 본 이 수녀에게서 떠날 수 없을 지경이었다. 그래서 베르나데트의 얼굴을 바라보면서 문앞까지 뒷걸음질 치며 나갔다.
[성모의 아름다움]
리옹 시의 유명한 조각가는 루르드의 발현 동굴에 안치하기 위하여 베르나데트의 지시에 따라 섬세한 데까지 물어서 실물에 못지 않게 자기 솜씨와 신앙과 사랑으로써 정성 들여 원죄 없으신 성모상을 만들었다. 이것은 명작이라고들 하였다. 베르나데트도 이것을 보았다. 그러나 그것은 너무나 기대에 어긋났었다. 그녀는 두 번 다시 보기를 꺼리고 성모님께 용서를 청하여 말했다.
"어머니, 어찌 이다지도 당신을 못난이로 만들까요? 미술가도 실제로 당신을 뵙는다면 정말 깜짝 놀랄 거예요."
이 말을 들은 한 사람이 물어 봤다.
"성모님은 그렇게 아름다우십니까?"
"그럼요. 한번 보면 이 세상의 그 어떤 것도 사랑할 수 없을 정도랍니다."
... ... ...
베르나데트의 얼굴이 성모님의 미소의 반영만으로서 그렇게 아름답다면 성모님은 얼마나 아름다우실까? 또 성모마리아가 피조물이면서도 그 만큼 아름다우시다면 온갖 선미의 근원이신 하느님은 얼마다 아름다우실까? 이를 보기 위한 비상한 갈망에 괴로워하고 있는 연옥 영혼을 위하여 기도하자.